본문 바로가기
경제

기초 생계급여 주거급여 신청 조건부터 혜택

by 부토리얼 2025. 4. 18.

 

최근 물가가 치솟고 고정 수입 없이 생활이 어려운 가정이 많아졌어요. 그럴 때 꼭 알아야 할 복지 제도가 있습니다.

바로 기초 생계급여와 기초 주거급여입니다.

이 두 가지는 국가가 일정 기준 이하의 소득을 가진 가구에게 매달 생활비와 주거비를 지원하는 대표 복지 제도예요.

단순한 생계 지원이 아닌, ‘삶을 버티게 해주는 안전망’이라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립니다.

지금부터 2025년 최신 기준으로, 신청 방법과 혜택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.

🍚 기초 생계급여란? 신청 기준과 대상

기초 생계급여는 최저생활을 보장받기 어려운 가구에게 현금으로 생활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소득, 재산, 부양의무자 여부 등 여러 기준을 통과해야 받을 수 있어요.

1. 신청 대상
→ 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 가구 (2025년 1인 가구 기준: 약 674,000원 이하)

2. 주요 조건
- 소득 + 재산을 환산한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
- 부양의무자 기준은 폐지됨 (2021년부터 단계적 완화)
-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급여 대상자로 판단 시 자동 지급

3. 신청 방법
→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

 

🏠 기초 주거급여란? 어떻게 신청하나요?

기초 주거급여는 임대료 부담이 큰 저소득 가구에 매달 임차료나 주택 수선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
1. 대상 기준
→ 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 가구 (1인 기준 약 1,056,000원 이하)
→ 전월세 세입자 및 자가 소유자 모두 신청 가능

2. 지급 방식
- 임차가구: 매달 임대료 현금 지원
- 자가가구: 주택 노후도에 따라 집 수리비 지원

3. 신청 방법
→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→ 소득조사 후 결정
→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신청 시 함께 진행 가능

 

 

💰 2025년 생계·주거급여 지원금액

지원금은 가구원 수와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
가구원 수 생계급여 (월 최대) 주거급여 (임차가구 기준)
1인 약 674,000원 약 320,000원
2인 약 1,120,000원 약 380,000원
4인 약 1,720,000원 약 480,000원

 

 

 

💡 신청 전 꼭 알아야 할 팁
  • 📍 신청 전에 ‘복지멤버십’ 등록 필수! 자동 알림 제공
  • 📍 수급 중 근로소득 생겨도 일부 제외 후 지원 가능
  • 📍 주거급여는 지역별 기준임대료에 따라 상이

 

❓ Q&A 자주 묻는 질문들

Q.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 가능합니다. 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+주거급여 통합 지급 사례 많습니다.

Q. 소득이 없으면 무조건 받을 수 있나요?
A. 아닙니다. 재산(부동산, 차량 등)이 기준을 초과하면 탈락할 수 있어요.

Q. 월세 지원은 실제 금액만큼 받나요?
A. 지역·가구원 수에 따라 상한선이 정해져 있어 그 범위 내에서 지원됩니다.

 

 

✅ 마무리 요약

기초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는 단순한 복지가 아닌 삶을 지켜주는 제도입니다.

2025년 기준이 올라간 만큼, 조건이 될 수 있다면 꼭 신청해보세요. 단 한 번의 신청으로 매달 생활비 + 주거비가 지원됩니다.